[기고] 거듭나야될 강화 지역 언론들… 강화군 비판과 감시는 숙명

                                                                        ▲ 이두(언론인)
                                                                                      - 전 조선일보 인천취재본부장
                                                                                      - 전 인천일보 일간경기
                                                                                      - 현대일보 편집국장


강화군의 대표적인 지역 언론으로 자리잡아가고 있는 강화투데이가 9월 17일 창간 3주년을 맞는다.


2021년 창간 신고를 한 후 정직한 언론, 군민의 마음을 읽고 내일을 여는 오늘의 언론을 사시(社是)로 출발했다. 지난 3년간 인터넷으로 24시간 강화군의 모든 정보를 전함은 물론이고 격주로 종이신문을 발행해 다른 언론과 차별화를 꾀해 왔다. 강화군민의 일상 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강화군청의 행정은 물론이고 강화군수의 일거수일투족을 보도했다. 강화군민의 건강과 사업, 일상에서 불편을 느낄 수 있는 각종 현안과 행사 모임 화제인물을 찾아내 신속 정확하게 보도하기 위해 달려왔다. 경제적으로 어려운 청소년들에게 등록금 지원, 오래된 집 수선해 주기 등의 지역 주민을 위한 생활 밀착 사업도 해오고 있다.


강화투데이 창간 3주년을 맞아 강화군에서 지역 언론의 역할과 기능, 그 위상 등을 다시한번 돌아본다.

현재 강화에는 강화투데이를 비롯한 5~6개의 지역 언론이 강화군 일대를 주요 출입처로 하며 활동하고 있다.    나름대로 역할과 기능에 충실하다.


그러나 강화군민이나 공무원들, 그 밖의 관계자들의 기대나 성원에 크게 미치지 못하는 게 현실이다. 그 이유는 여러 가지 있으나 가장 큰 이유는 재정적인 어려움이다. 현재 대한민국의 언론은 중앙이나 지역, 지방을 막론하고 또 방송과 신문 인터넷 등 거의 모든 매체가 재정적인 위기에 시달리고 있다.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중앙 언론이라 할수 있는 조중동(조선 중앙 동아일보)이나 KBS MBC 등도 기존 광고의 매출 격감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경기도와 인천을 커버하는 나름의 지역 광역권 언론이나 기초 지차체만을 취재하는 지방 언론의 어려움은 더욱 심하다. 요즘과 같은 유투브와 OTT시대에 누가 올드매체인 방송과 신문을 쳐다보겠는가. 시대 변화에 따른 피할수 없는 현실이다. 재정적으로 어렵다보니 현장을 취재할 기자를 채용하기도   어려워 인력 부족에 허덕인다.


강화군을 포함한 전국 각 지역에서 1인이 직접 취재 편집 인쇄 배포를 다하는 언론이 수두룩하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지역 언론이 제대로 굴러가는 게 이상하고 또 정상적인 역할과 기능도 기대할 수도 없다. 재정적인 어려움을 탈피하기 위해 쉽게 유혹에 빠지고 때로는 무리한 방법을 찾기도 한다.


그러나 언론의 환경이 아무리 열악하다 해도 언론은 그 본래의 기능과 역할을 포기할 수 없다. 다름아닌 3부(입법 행정 사법)의 권력 감시와 견제, 비판이다. 이를 행하지 못하는 언론은 존재이유가 없는 것이다. 그러기에 언론을 제4부라 하지 않는가. 오늘날 강화군이 폐쇄적인 군정을 벗어나지 못했다는 외부의 지적에는 언론도 그 책임이 적지않다. 그 때 그 때 강화군수의 입맛에만 맞는 기사로 홍보만 해주다보니 비판과 견제, 감시 기능은 사라진지 오래 됐다.


지역 언론의 또 다른 취약점의 하나는 지나친 정파성이다. 강화군의 경우도 강화군과 강화군수에 밀착한 언론은 상대적으로 군으로부터 재정 지원을 많이 받고 그렇지 못한 언론은 재정 지원은 고사하고 취재도 외면당하는 실정이다. 실상이 이렇다보니 강화군수가 바뀌면 지역 언론들도 생존을 모색하기 위해 줄서기도 마다하지 않는다.


오는 10월 16일 강화군수를 새로 선출하는 보궐선거가 치러진다. 누가 신임 강화군수가 될지 강화군과 인천시는 물론이고 전국적인 관심사이다. 전임 강화군수는 광고나 사업 등 여러 가지로 기자들에게 당근과 채찍을 사용한 걸로 알려져 있다. 그에 대한 공과가 적지않다. 군수가 언론을 좌지우지하는 것은 큰 폐단이다. 문제는 폐단이 그 자체로 끝나는 게 아니라 강화군 발전에 크게 가로막는다는 점이다. 군민들에게 군정이 제대로 전달되지 않을 때 그 피해는 고스란히 군민들이 떠안게 되고 폐단을 고치기 위해 더 많은 예산이 투입되어야 한다.


새로 선출되는 강화군수가 어떤 언론관을 갖고 있을 지도 큰 관심사다. 강화 지역 언론의 역할 및 기능 재정립에 적지않은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이제 강화군의 지역 언론들도 거듭나야 한다. 진정으로 강화군과 강화군민을 위하는 입장에서 취재하고 보도해야하는 가장 기본적인 원칙을 견지해야 한다. 무엇보다 강화군수가 폐쇄적이고 독단적이며 배타적이고 끼리끼리식의 군정을 펼칠 때는 이에 대해 강력하게 제동을 걸어야 한다. 현실에 비춰 결코 쉽지 않은 과제이다. 그러나 지금과 같아서는 강화의 지역 언론이라 하기에는 낯부끄러운 현실이다.


강화군의 지역 언론은 재정적 어려움과 인력난에 시달리는 등 주변 환경이 아무리 최악이라도 최우선적으로 강화군에 대한 비판과 감시로 그 존재감을 나타내야 한다. 

<저작권자 ⓒ 강화투데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최벽하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