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화도 ‘총선 깍두기 역할’ 하더라도… 목소리는 내야

4월 10일 전국에서 300명(지역구 254명·비례대표 46명)의 국회의원을 뽑는 총선이 치러진다. 10여일 앞으로 다가왔다. 강화군 유권자들은 중구·옹진군 주민들과 함께 1명의 국회의원을 선출한다. 지난 28일부터 공식적인 선거 운동이 시작돼 후보들은 길거리에 저마다 장밋빛으로 가득한 공약 플래카드가 내걸었다. 유세차가 강화 곳곳을 누비며 강화군민의 표심을 잡으려 안간힘이다. 만일 후보자들의 공약대로만 이뤄진다면 유권자들은 더 이상 바랄게 없을 정도다.


강화군에서는 지난 20대·21대 총선에 이어 더불어민주당 조택상 후보와 국민의힘 배준영 후보가 3번째 대결한다. 20대 선거때는 두 사람 모두 무소속의 안상수 후보에게 패했다. 4년전인 2020년 21대때는 배준영 후보가 조택상 후보를 누르고 당선됐다. 강화군이 배후보에게 절대적인 지지를 보내 그의 당선에 큰 몫을 했다. 보수색이 강한 강화의 표심이 이번 총선에는 어떻게 나타날지 인천의 관심거리다.


강화군은 오랫동안 총선에서 독자적인 목소리는 뚜렷하게 내지 못한 채 깍두기 역할만 해왔다. 유권자수 부족으로 지역구가 여기저기와 합쳐지다 보니 상대적으로 찬밥신세였다. 우리나라는 1948년 제헌국회 출범후 지금까지 모두 21번의 국회의원 선거를 치렀다. 이 중 강화군만의 독립된 지역구 선거는 광복 후인 1948년부터 1967년까지 7대 선거 때까지만이었다. 이때까지 강화군만을 대표하는 지역 국회의원을 당선시켰다. 이후 강화군은 선거권자의 기준 미달, 선거구제 개편 등으로 인근 지자체인 경기도 부천 김포 고양이나 인천시 서구 계양구와 함께 선거구가 되어야 했다. 1995년 강화군이 인천시로 편입하기 전까지는 경기도의 부천 김포 고양과 떼어졌다 붙였다를 반복했다. 인천시가 되면서부터는 인근의 서구와 계양구와 지역구를 이뤘다. 얼마전부터는 서구와 계양구가 커지자 상대적으로 작은 권역인 중구 동구 옹진군과 합쳐져야 했다.


이러는 와중에 강화는 단순한 지역구의 한 지역일뿐 다른 지역에 파묻혀 강화군민만을 위한 목소리를 낼 수 없었고 목소리를 내도 들리지 않았다. 선거구가 다른 지역과 합쳐지다보니 출마 후보자들은 강화보다 더 중요한 지역을 챙기고 주로 그 지역의 입장만을 반영해왔다. 물론 후보자들은 그런 일이 절대 없었다고 강변하겠지만….


이번 선거도 강화군은 중구·옹진군과 하나의 지역으로 묶여있다. 3개 지역으로 이뤄진 선거는 중구, 그 중에서도 영종도가 결정권을 가진 모양새다. 영종도에는 인구가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으며 특히 젊은 층이 많이 유입되고 있다. 출마 후보들은 3개 군구중 표가 가장 많고 표심이 유동적인 중구에 가장 많은 관심을 쏟는다. 특히 중구 가운데서도 새로운 결정지로 떠오르는 영종도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강화도는 유권자수도 적지만 출마자들이 강화도를 자세히 모른다는 점도 강화도에 관심을 덜 쏟게 만든다. 국민의힘 배준영 후보나 더불어민주당의 조택상 후보가 자신들이 나름 인천 출신이라고 내세우지만 피상적인 현안 정도만 파악할 뿐 실제로 강화도의 정서나 군민들의 마음을 헤아리지는 못한다. 강화도는 그냥 표를 얻는 곳이요, 지나가는 방문지인 셈이다.


두 후보가 강화도와 관련해 내세운 공약은 대충 이렇다. 조택상 후보는 ▲강화 도시가스 확대 공급 ▲서울도시철도 5호선 강화 연결 ▲강화~영종 연도교 건설 등이다. 현역인 배준영 후보가 내건 공약은 ▲강화~영종대교 조속 건설 ▲강화까지 인천지하철 2호선 연결이다. 주로 교통 문제이다. 그러나 강화주민들에게는 교통보다 더 시급한게 적지 않다. 우선 주민들이 초고령화다보니 복지와 의료 시설 및 개선이 무엇보다 급하다. 


이번 총선에서 더 걱정인 것은 강화의 보수 표심이 아무 영향력도 발휘하지 못하고 사표(死票)가 될 가능성도 적지 않다는 점이다.
이제 강화군은 지금까지 그래왔던 것처럼 어떠한 영향력도 행사하지 못한 채 등떠밀려 선거하고 어떤 결과가 나와도, 누가 당선돼도 아무렇지 않다는 무관심주의를 벗어나야 한다. 앞으로는 이번 총선을 비롯해 지방선거 등 각종 선거에서 어떤 후보가 강화도를 위해 어떤 공약을 하고 어떻게 이것이 실천되는 지 강화주민들은 유심히 살펴보아야 한다. 그래야만 투표를 하는 유권자들의 권리가 제대로 행사되는 것이다.


이두(언론인)
(전 조선일보 인천취재본부장 / 전 인천일보 일간경기 / 현대일보 편집국장)

<저작권자 ⓒ 강화투데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최벽하 기자 다른기사보기